[스크랩] 2010/05/17(월) - 서울 종로 권역(창경궁-2) 창경궁-2 written by 한국의 국보와 보물 ▲ 주목 앞에서 바라 본 함인정 모습 창경궁 현황도 향나무와 주목 ▲ 수령 160년의 향나무 ▲ 수령 300년의 주목 함인정 ▲ 함인정 전경 이곳에는 원래 성종 15년에 지은 인양전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인조 11년(1633)에 인경궁의 함인당을 이건하여 함..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10.05.18
창덕궁 창덕궁.!! 조선시대 궁궐로 태종이 거처하던 수강궁터에 지어진 건물이다. 성종 14년(1483)에 정희왕후, 소혜왕후, 안순왕후를 위해 창경궁을 지었다. 처음 지을 당시의 건물은 명정전·문정전의 정전과 수령전·환경전·경춘전·인양전·통명전들의 침전이 있었으며, 양화당·여휘당·사성각 들이 있..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9.06.09
경복궁 1392년 조선왕조를 개창한 태조는 1394년 서울을 도읍으로 정하고 종묘와 사직 및 궁궐 등의 공사를 착공하여 1395년 9월 29일 총 755칸 규모의 경복궁을 완공하였다. 그리고 그 해 태조는 정도전에게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지어 올리게 하였는데, 경복궁의 명칭을 비롯하여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8.12.18
경복궁-자경전 자경전 일곽은 서쪽 후면으로 서북쪽에 설치된 침방인 욱실(燠室)형의 복안당(福安堂)이 있어 겨울을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앞쪽에는 정면 10칸, 측면 4칸인 자경전을 두고, 자경전 동쪽에는 누각형태의 다락집인 청연루를 돌출시켜 여름에 시원하게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 청연루(淸..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8.12.18
경복궁-경회루 경회루는 근정전 서북쪽에 남쪽 113m, 동서 128m의 연당을 조성하여 연못 가운데에 큰 섬 한 개와 작은 섬 두 개를 만들고 연못의 동쪽에 치우친 큰섬 위에 중층 주각을 세워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외국 사신이 왔을 때 연회를 베풀었던 장소이다. 경복궁이 불에 탄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되었으나 고종 때..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8.12.18
경복궁-근정전 서울에는 현재 5개의 궁궐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궁궐은 경복궁(景福宮, 사적121호)과 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덕수궁(德壽宮), 경희궁(慶凞宮)이다. 경복궁은 궁궐 조성의 형식에 맞춰 건설된 조선시대의 정궁으로서 여타의 궁궐건축의 규범이 된다.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것을 흥선대원군..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8.12.18
궁궐 건축의 특짖 배산임수 뒤로는 산이 감싸고 있으며, 앞으로는 물이 흐르는 자리를 배산임수라 합니다. 배산임수는 명당자리의 기준입니다. 실제로 경복궁의 경우 뒤로는 백악산과 응봉산이 감싸고 있고, 앞에는 청계천이 흐릅니다. 좌묘우사 궁궐을 바라보면서 왼쪽에는 사직단이, 오른쪽에는 종묘가 있어야 합니.. 건축이야기/궁궐건축 2008.12.16